AJAX(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)
-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자바스크립트 및 XML을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며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웹페이지 일부 영역 부분만을 업데이트하는 기법
JSON(JavaScript Object Notation)
- 속성-값 쌍(Attribute-Value Pairs)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
-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AJAX에서 XML을 대체하여 사용
SGML(Stand Generalized Markup Language)
- 텍스트, 이미지,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전자문서들을 다른 기종의 시스템들과 정보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, 저장 및 자동 처리하기 위한 언어
속성(Attribute)
-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
기본 속성(Basic Attribute) | - 업무 분석을 통해 정의한 속성으로, 속성 중 가장 많고 일반적 - 업무로부터 분석한 속성이라도 업무상 코드로 정의한 속성은 기본 속성에서 제외 |
설계 속성(Designed Attribute) | - 원래 업무상 존재하지 않고 설계 과정에서 도출해내는 속성 -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 외에 데이터 모델링을 위해 업무를 규칙화하려고 속성을 새로 만들거나 변형하여 정의하는 속성 |
파생 속성(Derived Attribute) | - 다른 속성으로부터 계산이나 변형 등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속성 - 파생 속성은 되도록 적은 수를 정의 |
테이블 스페이스(Table Space)
- 테이블이 저장되는 논리적인 영역
- 하나의 테이블 스페이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이블을 저장
- 데이터베이스를 테이블, 테이블 스페이스, 데이터 파일로 나눠 관리하면 논리적 구성이 물리적 구성에 종속되지 않아 투명성이 보장
데이터베이스 이중화(Database Replication)
- 시스템 오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 발생 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
Eager 기법 | - 트랜잭션 수행 중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이중화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전달하여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되도록 하는 기법 |
Lazy 기법 | - 트랜잭션의 수행이 종료되면 변경 사실을 새로운 트랜잭션에 작성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기법 |
로드 밸런서(Load Balancer)
- 특정 서버에 집중되는 부하를 덜기 위해 여러 개의 서버로 부하를 분산시키는 네트워크 서비스
접근 통제(Access Control)
-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 흐름을 제한하는 것
임의 접근 통제(DAC, Discretionary Access Control) | -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 - 통제 권한이 주체에 있어 주체가 접근 통제 권한을 지정하고 제어 |
강제 접근 통제(MAC, Mandatory Access Control) | -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 - 제 3자가 접근 통제 권한을 지정 |
역할 기반 접근 통제(RBAC, Role Based Access Control) | - 소유자가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신원, 주체에 기초하여 객체 접근하는 방식 |
데이터베이스 장애 유형
사용자 실수 |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테이블이 삭제되거나 잘못된 트랜잭션이 처리된 경우 |
미디어 장애 | CPU, 메모리, 디스크 등 하드웨어 장애나 데이터가 파손된 경우 |
구문 장애 | 프로그램 오류나 사용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 |
사용자 프로세스 장애 |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네트워크 이상으로 세션이 종료되어 발생하는 오류 |
인스턴스 장애 | 하드웨어 장애, 정전, 시스템 파일 파손 등 비정상적인 요인으로 인해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프로세스가 중단된 경우 |
DAS(Direct Attached Storage)
-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
- 서버에서 저장장치를 관리
- 초기 구축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
-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이 쉬우나,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없고 파일을 공유할 수 없음
NAS(Network Attached Storage)
-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
- 별도의 파일 관리 기능이 있는 처리 장치가 내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관리
-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
- 확장성 및 유연성이 우수
SAN(Storage Area Network)
-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
-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
- 장치 간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가바이트 단위로 높이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인 파이버 채널을 사용하여 처리 속도가 빠름
- 서버들이 저장장치 및 파일을 공유할 수 있고, 확장성, 유연성, 가용성이 뛰어남
- 초기 설치 시 비용이 많이 듬
'1. 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9월26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2과목] (0) | 2021.01.18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9월26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1과목] (1) | 2021.01.05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8월22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5과목] (0) | 2020.08.28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8월22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4과목] (0) | 2020.08.27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8월22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3과목] (2) | 2020.08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