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과목 :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
1.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1. 128비트의 주소 공간을 제공한다.
2. 인증 및 보안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.
3. 패킷 크기가 64Kbyte로 고정되어 있다.
4. IPv6 확장 헤더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 확장이 용이하다.
IPv6 - 128비트의 주소를 사용,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, IPv4에 비해 자료 전송 속도가 빠름 - 인증성, 기밀성,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 - 주소의 확장성, 융통성, 연동성이 뛰어나며,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 지원 -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 용이(Traffic Class, Flow Label) |
2. C언어에서 비트 논리연산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1. ^
2. ?
3. &
4. ~
& - and ^ - xor | - or ~ - not << - 왼쪽 시프트 >> - 오른쪽 시프트 |
3. TCP/IP 프로토콜 중 전송계층 프로토콜은?
1. HTTP
2. SMTP
3. FTP
4. TCP
7계층(Application Layer) - HTTP, FTP, SMTP, Telnet 6계층(Presentation Layer) - ASCII, MPEG, JPEG, MIDI 5계층(Session Layer) - NetBIOS, SAP, SDP, NWLink 4계층(Transport Layer) - TCP, UDP (관련 장비 : 게이트웨이) 3계층(Network Layer) - IP, IPX (관련 장비 : 라우터) 2계층(Data Link Layer) - Ethernet, Token Ring, FDDI, Apple Talk (관련 장비 : 랜카드, 브리지, 스위치) 1계층(Physical Layer) - UDP케이블, 광케이블, 리피터 등 (관련 장비 : 리피터, 허브) |
4. 시스템에서 모듈 사이의 결합도(Coupling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1. 한 모듈 내에 있는 처리요소들 사이의 기능적인 연관 정도를 나타낸다.
2. 결합도가 높으면 시스템 구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쉽다.
3. 모듈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.
4. 자료결합도는 내용결합도 보다 결합도가 높다.
모듈(Module) - 모듈은 모듈화를 통해 분리된 시스템의 각 기능들로, 서브루틴, 서브시스템, 소프트웨어 내의 프로그램, 작업 단위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 결합도(Coupling) : 모듈 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- 결합도가 강하면 시스템 구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움 응집도(Cohesion) : 모듈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는 정도 - 응집도가 강하면 품질이 높고 약하면 품질이 낮아짐 |
5. 은행가 알고리즘(Banker's Algorithm)은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어떤 기법에 해당하는가?
1. Avoidance
2. Detection
3. Prevention
4. Recovery
교착상태(DeadLock) :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하는 상태 교착상태 발생 조건 - 상호배제(Mutual Exclusion) : 한 번에 한 프로세스만 해당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 - 점유와 대기(Hold and Wait) : 프로세스가 한 개 이상의 자원을 할당받은 후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 - 비선점(No Preemption) :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중인 자원을 강제로 뺏을 수 없음 - 순환대기(Circular Wait) : 프로세스들이 순환(원형)을 이루어서 존재, 이를 구성하는 각 프로세스는 이전 프로세스가 요청하는 자원을 점유하고 다음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(순환대기는 점유와대기, 비선점, 상호배제 조건을 만족해야 발생하는 현상) 교착상태 회피 - 예방(Prevention) - 상호배제(Mutual Exclusion)부정 : 한 번에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- 점유와 대기(Hold and Wait)부정 :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여 프로세스 대기를 없애거나 자원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함 - 비선점(No Preemption)부정 : 자원을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요구할 때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반납하고 요구한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기다리게 함 - 순환대기(Circular Wait)부정 : 자원을 선형 순서로 분류하여 고유 번호 할당 및 점유한 자원의 고유 번호보다 앞이나 뒤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함 - 회피(Avoidance) - 교창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나가는 방법으로 주로 은행원 알고리즘(Banker's Algorithm이 사용 됨. - 발견(Detection) -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여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하는 것 - 회복(Recovery) - 교착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교착상태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선점하여 프로세스나 자원을 회복 |
6. UNIX의 쉘(Shell)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1. 명령어 해석기이다.
2.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.
3. 여러 종류의 쉘이 있다.
4. 프로세스, 기억장치, 입출력 관리를 수행한다.
쉘(Shell) -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 -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 - DOS의 COMMAND.COM과 같은 기능을 수행 - 주기억장치에 상주하지 않고, 명령어가 포함된 파일 형태로 존재 커널(Kernel) -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상주하면서 실행 - 하드웨어를 보호,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 - 프로세스 관리, 기억장치 관리, 파일 관리, 입·출력 관리, 프로세스간 통신,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|
7. 교착 상태 발생의 필요 충분 조건이 아닌 것은?
1. 상호 배제(mutual exclusion)
2. 점유와 대기(hold and wait)
3. 환형 대기(circular wait)
4. 선점(preemption)
8. OSI-7계층에서 종단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오류검출과 복구,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계층은?
1. 전송 계층
2. 세션 계층
3. 표현 계층
4. 응용 계층
9. IPv6의 주소체계로 거리가 먼 것은?
1. Unicast
2. Anycast
3. Broadcast
4. Multicast
10. TCP/IP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은?
1. UDP
2. ARP
3. TCP
4. ICMP
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, 주소 분석 프로토콜) -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(MAC Address)로 바꿈 RARP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 - ARP와 반대로 물리적 주소(MAC Address)를 IP 주소로 변환 |
11. 프로세스 상태의 종류가 아닌 것은?
1. Ready
2. Running
3. Request
4. Exit
프로세스의 상태 종류 - 보류 (pending) - 준비 (ready) - 실행 (running) - 대기 (blocked) - 교착 (deadlock) - 완료 (terminated) |
12. 스레드(Thread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1. 한 개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없다.
2. 커널 스레드의 경우 운영체제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한다.
3. 사용자 스레드의 경우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운용한다.
4. 스레드를 사용함으로써 하드웨어,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.
스레드(Thread) :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로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-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하나의 스레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일 스레드, 하나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중 스레드 - 동일 프로세스 환경에서 서로 독립적인 다중 수행이 가능 - 스레드 기반 시스템에서 스레드는 독립적인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로서 프로세스의 역할을 담당 - 하드웨어,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 시킬 수 있음 -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 시간을 단축 - 프로세스들 간 통신 향상 - 공통적으로 접근 가능한 기억장치를 통해 효율적인 통신 - 실행 환경을 공유하여 기억장소의 낭비를 줄임 |
13. HRN(Highest Response-ratio Next) 스케줄링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1.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경우 우선 순위가 높아진다.
2. SJ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다.
3. 긴 작업과 짧은 작업 간의 지나친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.
4. 우선 순위를 계산하여 그 수치가 가장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.
HRN(Highest Response-ratio Next) - 프로세스 처리의 우선 순위를 CPU 처리 기간과 해당 프로세스의 대기시간을 동시에 고려해 선정 - SJF 기법의 문제점을 보완해 개발 |
14. IEEE 802.11 워킹 그룹의 무선 LAN 표준화 현황 중 QoS 강화를 위해 MAC 지원 가능을 채택한 것은?
1. 802.22a
2. 802.11b
3. 802.11g
4. 802.11e
15. C언어에서 사용할 수 없는 변수명은?
1. student2019
2. text-color
3. _korea
4. amount
-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(대소문자), 숫자, 언더스코어(_)로만 구성 -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될 수 없음 - 변수의 이름 사이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음 - 변수의 이름으로 C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(keyword)는 사용할 수 없음 |
16. 스크립트 언어가 아닌 것은?
1. PHP
2. Cobol
3. Basic
4. Python
스크립트 언어 :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립트 언어 종류 - JavaScript - ActionScript - AutoHotKey - JSP - Perl - PHP - Python - Lua - Ruby - VBS |
17. 다음의 페이지 참조 열(Page reference string)에 대해 페이지 교체 기법으로 선입선출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(Page Fault) 횟수는? (단, 할당된 페이지 프레임 수는 3이고, 처음에는 모든 프레임이 비어 있다.)
7,0,1,2,0,3,0,4,2,3,0,3,2,1,2,0,1,7,0 |
1. 13
2. 14
3. 15
4. 20
참조열 | 7 | 0 | 1 | 2 | 0 | 3 | 0 | 4 | 2 | 3 | 0 | 3 | 2 | 1 | 2 | 0 | 1 | 7 | 0 |
페이지 프레임 |
7 | 7 | 7 | 2 | 2 | 2 | 2 | 4 | 4 | 4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7 | 7 |
0 | 0 | 0 | 0 | 3 | 3 | 3 | 2 | 2 | 2 | 2 | 2 | 1 | 1 | 1 | 1 | 1 | 0 | ||
1 | 1 | 1 | 1 | 0 | 0 | 0 | 3 | 3 | 3 | 3 | 3 | 2 | 2 | 2 | 2 | 2 | |||
부재 발생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 F |
18. C언어에서 배열 b[5]의 값은?
1. 0
2. 1
3. 2
4. 3
19. 응집도가 가장 낮은 것은?
1. 기능적 응집도
2. 시간적 응집도
3. 절차적 응집도
4. 우연적 응집도
기능적 응집도 | 순차적 응집도 | 교환적 응집도 | 절차적 응집도 | 시간적 응집도 | 논리적 응집도 | 우연적 응집도 | 응집도 강함<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>응집도 약함 |
20. JAVA 언어에서 접근제한자가 아닌 것은?
1. public
2. protected
3. package
4. private
접근 제한자 - 접근 제한자가 지정된 클래스, 변수, 메서드를 외부(같은 패키지 or 다른 패키지)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 접근 제한자의 종류 - public : 외부의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 - protected : 같은 패키지 내부에 있는 클래스, 하위 클래스(상속받은 경우)에서 접근이 가능 - (default) : 접근 제한자를 명시하지 않은 경우로 같은 패키지 내부에 있는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 - private :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 |
'1. 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 필기]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- 1 (0) | 2020.07.25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6월06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5과목] (0) | 2020.07.24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6월06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3과목] (0) | 2020.07.20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6월06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2과목] (0) | 2020.07.17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년06월06일 시험문제 리뷰를 통한 시험준비[1과목] (0) | 2020.07.15 |